맨위로가기

고대 그리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그리스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어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다. 다섯 개의 격, 세 개의 성, 세 개의 수를 가진 명사와 네 개의 법, 세 개의 태, 세 개의 인칭을 갖는 동사를 활용하는 굴절어이다. 음절핵적 자음의 변화, /s/의 탈락, 모음 융합 등 음운 변화가 나타났으며, 증강, 겹받침 등의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주요 저작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플라톤의 《변명》 등이 있다. 현대에도 교육, 학술 용어,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유럽과 미국의 교육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어 - 미케네 그리스어
    미케네 그리스어는 기원전 15세기에서 13세기 사이 미케네 문명에서 사용된 초기 그리스어 방언으로, 선형 B 문자로 기록된 점토판과 토기 파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인도유럽조어와 고대 그리스어의 특징을 지니고 후대 그리스어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어 - 그리스조어
    그리스조어는 후기 인도유럽조어에서 분화되어 기원전 2500년경에 출현한 언어로 추정되며, 흑해 북쪽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지역으로 이주한 화자들이 토착 선그리스 기층언어 화자들과 혼합되어 형성되었고, 기원전 1700년경부터 남부와 북부 그룹으로 나뉘기 시작했다.
  • 고대 그리스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그리스 - 황금시대
    황금시대는 신화, 역사, 대중문화에서 이상적인 번영과 평화의 시기를 의미하며, 신화에서는 근심 없는 삶을, 역사에서는 특정 문화의 번성기를, 대중문화에서는 전성기나 초기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 고대 언어 - 이오니아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는 기원전 11세기경 이오니아인들이 소아시아와 에게해 제도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그리스어 방언으로, 아티카 방언과 관련이 깊고 호메로스와 헤로도토스를 비롯한 작가들이 사용했으며 표준 그리스 알파벳과 코이네 그리스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고대 그리스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고대 그리스어
고유 이름(헬레니케)
로마자 표기Hellēnikḗ
IPA 발음hellɛːnikɛ́ː
사용 지역동부 지중해
사용 시기기원전 1400년~기원전 300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헬렌어파
문자그리스 문자
조상 언어원시 그리스어
ISO 639-2grc
ISO 639-3grc (모든 고대 단계를 포함)
글롯토로그anci1242
글롯토로그 참조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사용 시기
미케네 문명 시기기원전 1400~1200년경
암흑 시대기원전 1200~800년경
고졸기기원전 800~500년경
고전기기원전 500~300년경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00년경 이후
언어 지도
고대 (호메로스 시대) 그리스 지도
고대 그리스 지도
기타 정보
관련 문서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 부족 목록
그리스어 (동음이의)
언어학적 특징
언어 발전고대 그리스어는 코이네로 발전함.

2. 역사

그리스어파 언어들의 발전 과정과 초기 형태, 기원은 당시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원시인구어에서 고전 시대 초기 그리스어 구어(口語)를 거쳐 발전했다는 가설들이 있다.

이 시기에 유일하게 존재가 증명된 방언은 미케네 그리스어이지만,[39] 선형문자 B로 기록되어 불완전하며, 다른 역사적 방언들과의 관계, 당시 역사적 상황을 고려할 때, 여러 방언 집단들이 이미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 그리스어는 이후 유럽 여러 언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호메로스서사시, 희곡 작가들, 페리클레스 시대의 철학자들, 그리고 『신약성서』 등이 그 증거이다. 또한 "민주주의(democracy)"와 같은 필수적인 단어들을 포함하여 영어 어휘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르네상스부터 20세기 초까지는 서양 교육 제도에서 표준 과목이었다. 오늘날에도 학명에 사용되는 신라틴어(근대 라틴어)에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어휘가 활발하게 인용되고 있다.

헬레니즘 시대의 고대 그리스어는 코이네(공통어) 또는 성서 그리스어로 알려져 있으며, 그 후기 형태가 중세 그리스어로 변화해 갔다. 초기 코이네는 고전기와 공통점이 많지만, 그리스어 역사에서는 독립적인 것으로 취급된다. 코이네 이전의 고전기나 그 이전 그리스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했다. 미케네 문명 시대의 미케네어(기원전 1600년–기원전 1100년)는 고대 그리스어(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에 앞서는 언어이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그리스어파 언어들의 발전 과정과 초기 형태, 기원은 당시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원시인구어에서 고전 시대 초기 그리스어 구어(口語)를 거쳐 발전했다는 가설들이 있다.

이 시기에 유일하게 존재가 증명된 방언은 미케네 그리스어이다.[4] 그러나 선형문자 B로 기록되어 불완전하며, 다른 역사적 방언들과의 관계, 당시 역사적 상황을 고려할 때, 여러 방언 집단들이 이미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학자들은 주요 고대 그리스 시대 방언 그룹이 도리아 침입 시기인 기원전 1120년 이후에 발전했고, 기원전 8세기에 처음으로 정확한 알파벳으로 등장했다고 추정한다. 침입은 후대의 아티카-이오니아 지역으로 인구를 이동시켰으며, 이들은 도리아인에게 쫓겨나거나 도리아인과 다투던 인구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모든 그리스인을 도리아인, 아이올리아인, 이오니아인(아테네인 포함)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고유한 방언을 가졌다고 믿었다. 이는 현대 고고학-언어학적 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방언의 표준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4]

그룹하위 그룹주요 방언
서부 그룹
아이올리아어 그룹
이오니아-아티카 그룹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팜필리아어
고대 마케도니아 방언



보이오티아어는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5] 테살리아어 역시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정도는 덜했다. 고대 마케도니아 방언은 펠라 저주판과 같은 문서 발견으로[7][8] 북서 도리아 방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9][10][7] 테살리아 북동부의 테살리아 방언과 유사성을 공유한다.[7]

대부분의 방언 하위 그룹은 도시 국가와 주변 지역, 섬에 따라 더 세분화되었다. 도리아어는 섬 도리아어(크레타 도리아어 포함), 남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라코니아어, 스파르타 방언 포함), 북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코린토스어 포함) 등으로 나뉜다.

모든 그룹은 그리스 본토 너머의 식민지에도 존재했으며, 이들 식민지는 현지 특징을 발전시켰다.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이후, 아티카어를 기반으로 한 코이네 그리스어가 발전하여 다른 방언들을 대체했지만, 도리아 방언은 차코니아어로 살아남았고, 민중 그리스어에 영향을 주었다.

2. 2. 주요 방언의 형성

그리스어파 언어들의 발전 과정과 초기 형태, 기원은 당시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원시인구어에서 갈라져 나온 초기 그리스어가 고전 시대 초기의 그리스어 구어(口語)를 기점으로 여러 방언 집단으로 나뉘어 존재했을 것이라는 몇 가지 가설이 있다.

이 시기에 존재가 확인된 유일한 방언은 미케네 그리스어이다.[39] 그러나 선형문자 B라는 불완전한 문자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정확성은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케네 그리스어와 다른 역사적 방언들, 그리고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주요 방언 집단들이 이미 어떤 형태로든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그리스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뉜 다중 중심 언어였다. 주요 방언 그룹은 다음과 같다:

  • 아티카 방언
  • 이오니아 방언
  • 아이올리아 방언
  • 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
  • 도리아 방언


이 방언들은 다시 여러 하위 방언으로 나뉜다. 일부 방언은 문학 작품에서 표준화된 형태로 나타나지만, 어떤 방언들은 비문에서만 확인된다.

호메로스식 그리스어는 일리아스오디세이아 같은 서사시에 사용된 문학적 형태로, 주로 이오니아 방언과 아이올리아 방언에 기반을 두고 있다.[3] 호메로스식 그리스어는 고전 아티카 방언 및 다른 고전 시대 방언과 문법 및 발음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학자들은 주요 고대 그리스어 방언 그룹이 도리아 침입 시기인 기원전 1120년 이후에 발전하기 시작하여, 기원전 8세기에 이르러 정확한 알파벳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고 추정한다. 침입은 "도리아인"의 침입이라고 불리지만, 이들이 역사적 도리아인과 어떤 문화적 관계를 가졌는지는 불분명하다. 침입으로 인해 아티카-이오니아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했으며, 이들은 도리아인에게 쫓겨나거나 도리아인과 다투던 사람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모든 그리스인을 도리아인, 아이올리아인, 이오니아인(아테네인 포함)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고유한 방언을 가지고 있었다고 믿었다. 알려지지 않은 산악 방언인 아르카디아 방언과 그리스 학문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키프로스 방언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인구와 언어의 분류는 현대 고고학-언어학적 조사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

방언의 표준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4]

그룹하위 그룹
서부 그룹
아이올리아어 그룹
이오니아-아티카 그룹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서부 그리스어와 비서부 그리스어는 가장 두드러지고 초기의 분류이며, 비서부는 이오니아-아티카(또는 아티카-이오니아)의 하위 집합과 아이올리아어 대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또는 아이올리아어와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대 이오니아-아티카로 나뉜다. 종종 비서부는 '동부 그리스어'라고 불린다.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는 청동기 시대의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더 가깝게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보이오티아어는 강한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어떤 면에서는 전이적인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5] 테살리아어 역시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정도는 덜했다.

팜필리아어는 아나톨리아 남서부 해안의 작은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비문으로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다섯 번째 주요 방언 그룹이거나, 비그리스계 원주민의 영향을 받은 도리아어가 덧씌워진 미케네 그리스어일 수 있다.[6]

고대 마케도니아인의 언어에 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제기되었지만, 그리스 마케도니아 지역에서의 비문 활동과 고고학적 발견으로 펠라 저주판과 같은 최초의 마케도니아어로 쓰인 텍스트를 포함한 문서들이 발견되었다.[7][8] 여러 연구와 발견의 결론을 바탕으로, 고대 마케도니아어가 북서 도리아 방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10][7] 이 방언은 테살리아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이웃 테살리아 방언과 등어휘를 공유한다.[7][7] 일부는 아이올리아어 분류를 제안하기도 했다.[11][12]

레즈보스 방언은 아이올리아어였다. 예를 들어, 레즈보스 섬 출신 시인 사포의 작품 조각은 아이올리아어로 되어 있다.[13]

위에 나열된 대부분의 방언 하위 그룹은 더 세분화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와 그 주변 지역 또는 섬에 해당한다. 도리아어는 특히 섬 도리아어(크레타 도리아어 포함), 남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라코니아어, 스파르타 방언 포함), 북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코린토스어 포함)으로 중간 분류가 여러 개 있었다.

모든 그룹은 그리스 본토 너머의 식민지에도 존재했으며, 이러한 식민지들은 일반적으로 현지 특징을 발전시켰는데, 종종 다른 그리스 방언을 사용하는 정착민이나 이웃의 영향을 받았다.

2. 3. 코이네 그리스어의 등장과 발전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주로 아티카어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다른 방언들의 영향이 가미된 코이네 그리스어(공통 그리스어)라는 새로운 국제 방언이 발전하였다. 이 방언은 점차 기존의 오래된 방언들을 대체하였으나, 도리아 방언은 현대 스파르타 지역에서 쓰이는 차코니아어로 명맥을 이어갔다. 도리아어는 또한 민중 그리스어 동사 대부분에 미완료 시제 어미를 남겼다. 코이네는 6세기경에 이르러 점진적으로 중세 그리스어로 변화하였다.

2. 4. 중세 그리스어로의 변화

헬레니즘어족의 기원, 초기 형태 및 발전은 동시대의 증거 부족으로 인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초기 그리스어와 같은 언어가 공통 인도유럽조어에서 갈라진 이후 고전 시대까지 존재했을 수 있는 헬레니즘 방언 그룹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존재한다. 이 시기에서 증명된 유일한 방언은 미케네 그리스어이지만, 그 관계는 역사적 방언과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할 때 전체 그룹이 어떤 형태로든 이미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학자들은 주요 고대 그리스 시대 방언 그룹이 도리아 침입 시기인 기원전 1120년 이후에 발전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며, 정확한 알파벳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기원전 8세기였다. 이 침입으로 인해 후대의 아티카-이오니아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했으며, 이들은 도리아인에 의해 쫓겨나거나 도리아인과 다투던 인구의 후손으로 여겼다.

이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모든 그리스인을 도리아인, 아이올리아인, 이오니아인(아테네인 포함)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고유하고 독특한 방언을 가지고 있었다고 믿었다. 이러한 인구와 언어의 분류는 현대 고고학-언어학적 조사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4]

방언에 대한 표준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서부 그룹
  • * 북서 그리스어
  • * 도리아어
  • 아이올리아어 그룹
  • * 에게/아시아 아이올리아어
  • * 테살리아어
  • * 보이오티아어
  • 이오니아-아티카 그룹
  • * 아티카어
  • * 이오니아어
  • ** 에우보이아와 이탈리아 식민지
  • ** 키클라데스 제도
  • ** 아시아 이오니아어
  •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 * 아르카디아어
  • * 키프로스어


서부 대 비서부 그리스어는 가장 두드러지고 초기의 분류이며, 비서부는 이오니아-아티카(또는 아티카-이오니아)의 하위 집합과 아이올리아어 대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또는 아이올리아어와 아르카도-키프리오트어 대 이오니아-아티카로 나뉜다. 종종 비서부는 '동부 그리스어'라고 불린다.

보이오티아어는 강한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어떤 면에서는 전이적인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5] 테살리아어 역시 북서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정도는 덜했다.

고대 마케도니아어는 북서 도리아 방언이라고 제안된다.[9][10][7] 이 방언은 테살리아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이웃 테살리아 방언과 등어휘를 공유한다.[7]

위에 나열된 대부분의 방언 하위 그룹은 더 세분화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도시 국가와 그 주변 지역 또는 섬에 해당한다. 도리아어는 특히 섬 도리아어(크레타 도리아어 포함), 남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라코니아어, 스파르타 방언 포함), 북 펠로폰네소스 도리아어(코린토스어 포함)으로 중간 분류가 여러 개 있었다.

모든 그룹은 그리스 본토 너머의 식민지에도 존재했으며, 이러한 식민지들은 일반적으로 현지 특징을 발전시켰는데, 종종 다른 그리스 방언을 사용하는 정착민이나 이웃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코이네 그리스어 또는 공통 그리스어로 알려진 새로운 국제 방언이 주로 아티카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다른 방언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이 방언은 오래된 대부분의 방언을 서서히 대체했지만, 도리아 방언은 현대 스파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차코니아어로 살아남았다. 도리아어는 또한 민중 그리스어의 대부분의 동사에 그 미완료 시제 어미를 전달했다. 6세기경까지 코이네는 서서히 중세 그리스어로 변형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고대 그리스어는 코이네(공통어) 또는 성서 그리스어로 알려져 있으며, 그 후기 형태가 중세 그리스어로 변화해 갔다.

3. 방언

고대 그리스어는 표준어 없이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 다원적인 언어였다. 주요 방언군으로는 아티케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아르카디아-퀴프로스 그리스어, 도리아 그리스어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다시 세부 방언으로 나뉜다. 몇몇 방언들은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처럼 표준화된 문어체를 갖고 있지만, 다른 방언들은 비문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3]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졸기 그리스어의 문어체로, 주로 이오니아 그리스어와 아이올리스 그리스어에서 기원했으며, 호메로스일리아스오디세이아를 비롯한 후대 다른 작가들의 시에서도 사용되었다.[3]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전 아티카 방언이나 다른 고전 시대 방언들과 문법 및 발음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3. 1. 주요 방언군

고대 그리스어는 표준어가 없이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 다원적인 언어였다. 주요 방언군으로는 아티케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아르카디아-퀴프로스 그리스어, 도리아 그리스어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다시 세부 방언으로 나뉜다.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처럼 표준화된 문어체를 가진 방언도 있었지만, 비문에서만 확인되는 방언도 있었다.[3]

450px


서부중부동부
분류 불명: 'M' 마케도니아 방언



고대 그리스어의 각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41]

서그리스 방언군동그리스 방언군



그리스어 방언 분류에서 서부와 비서부 구분이 가장 오래되고 유력하다. 비서부 방언은 “동그리스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대부분의 방언군은 폴리스 영역이나 섬에 대응하는 형태로 더 세부적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레스보스 방언은 아이올리스 방언의 하나이다. 도리스 방언은 도서 도리스 방언(크레타 방언 등), 남펠로폰네소스·도리스 방언(스파르타의 라코니아 방언 등), 북펠로폰네소스·도리스 방언(코린토스 방언 등)과 같이 중간 구분도 있었다.

이오니아계 이외의 방언군은 주로 비문을 통해 파악된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사포핀다로스의 작품이지만, 단편적으로만 현존한다. 각 방언군은 식민 도시에 의해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했는데, 이러한 식민 도시는 때로는 개척 이민자나 이웃 주민이 사용하는 다른 방언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3. 2. 방언의 특징과 분포

고대 그리스어는 표준어가 없이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 다원적인 언어였다. 주요 방언 그룹으로는 아티카 방언, 이오니아 방언, 아이올리아 방언, 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 도리아 방언이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다시 세부 방언으로 나뉜다.[3] 어떤 방언들은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처럼 표준화된 문어 형태를 가지고 있었지만, 다른 방언들은 비문에서만 확인된다.[3]

서부중부동부
colspan="3" style="vertical-align: top;"|



각 방언은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될 수 있다.[41]


  • 서그리스 방언군
  • * 북서 그리스 방언군
  • ** 아카이아 방언
  • ** 아이토리아 방언
  • ** 로크리스 방언
  • ** 포키스 방언
  • ** 엘리스 방언
  • ** 마케도니아 방언: 북서 그리스 방언 중 하나로, 북서 그리스 방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도리스 방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42][43]
  • * 도리스 방언군
  • ** 라코니아(헤라클레이아) 방언
  • ** 메가라 방언
  • ** 아르골리스 방언
  • ** 코린토스 방언
  • ** 로도스 방언
  • ** 코스 방언
  • ** 테라=키레나이카 방언
  • ** 크레타 방언
  • 동그리스 방언군
  • * 아이올리스 방언군
  • ** 소아시아=레스보스 방언
  • ** 보이오티아 방언: 북서 방언의 강한 영향을 받아 과도기적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 테살리아 방언: 보이오티아 방언만큼은 아니지만, 북서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 * 이오니아·아티카 방언군
  • ** 아티카 방언
  • ** 이오니아 방언

서이오니아(에우보이아) 방언
중부 이오니아(키클라데스) 방언
동이오니아(소아시아=이오니아) 방언

  • * 아르카디아·키프로스 방언군: 미케네어의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 ** 아르카디아 방언
  • ** 키프로스 방언
  • ** 팜필리아 방언: 소아시아 남서부 연안(뤼키아와 킬리키아 사이)에서 사용되었으며, 비문에 일부 남아있다. 다른 방언의 한 갈래이거나, 도리스인에 의해 비그리스계 원주민의 영향을 받은 미케네어일 가능성도 있다.


그리스어 방언은 서부와 비서부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오래되고 유력하다. 비서부 방언은 '동그리스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대부분의 방언군은 폴리스나 섬에 해당하며, 더 세분화된 하위 구분을 가진다. 예를 들어, 레스보스 방언은 아이올리스 방언의 하위 방언이다. 도리스 방언은 섬 도리스 방언(크레타 도리아어 포함), 남펠로폰네소스 도리스 방언(라코니아어, 스파르타 방언 포함), 북펠로폰네소스 도리스 방언(코린토스어 포함)과 같이 중간 분류를 가진다.

이오니아계 방언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언은 주로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사포핀다로스의 작품이지만, 단편적으로만 전해진다. 각 방언군은 식민 도시에서 독특하게 표현되기도 했으며, 다른 그리스 방언을 사용하는 정착민이나 이웃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코이네 또는 공통 그리스어라고 불리는 국제적인 방언이 발전했다. 코이네는 주로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했지만, 다른 방언의 영향도 받았다. 고대 방언은 대부분 점차 코이네로 대체되었지만, 도리스 방언은 현대 그리스어의 차코니아 방언으로 남아 있으며, 데모티키 동사에 아오리스트 형태를 남겼다. 기원후 6세기경, 코이네는 중세 그리스어로 변화했다.

3. 3. 방언의 문학적 사용

고대 그리스어는 표준어가 없이 여러 방언으로 나뉘는 다원적인 언어였다. 주요 방언 집단으로는 아티케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 아이올리스 그리스어, 아르카디아-퀴프로스 그리스어, 도리아 그리스어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다시 세부 방언으로 나뉜다. 몇몇 방언들은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처럼 표준화된 문어체를 갖고 있지만, 다른 방언들은 비문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어는 역사적인 변천을 보였다.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졸기 그리스어의 문어체로, 주로 이오니아 그리스어와 아이올리스 그리스어에서 기원했으며, 호메로스일리아스오디세이아를 비롯한 후대 다른 작가들의 시에서도 사용되었다.[3] 호메로스 그리스어는 고전 아티카 방언이나 다른 고전 시대 방언들과 문법 및 발음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4. 음운론

고대 그리스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 및 다른 인도유럽어들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고대 그리스어 단어는 모음이나 /n/, /s/, /r/로만 끝날 수 있었는데, γάλα|갈라grc "우유"와 γάλακτος|갈락토스grc "우유의" (소유격)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말 자음은 소실되었다.[20]

고전 시대의 고대 그리스어는 수많은 음운 변화로 인해 원래 프로토인도유럽어 음소의 목록과 분포에서도 달랐는데,[20]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 프로토인도유럽어의 *s는 단어 앞에서 /h/가 되었다 (탈구개음화): 라틴어 ''sexla'', 영어 ''six'', 고대 그리스어 ἕξ|헭스grc /héks/.
  • 프로토인도유럽어의 *s는 탈구개음화의 중간 단계를 거친 후 모음 사이에서 탈락되었다: 산스크리트어 '''', 라틴어 ''generisla'' (여기서 ''s''는 설음화에 의해 ''r''이 됨), 그리스어 *genesosgrc > *genehosgrc > 고대 그리스어 γένεος|게네오스grc (/ɡéneos/), 아티카 방언 γένους|게누스grc (/ɡénoːs/) "종류의".
  • 프로토인도유럽어의 *y /j/는 /h/ (탈구개음화) 또는 /(d)z/ (강화(fortition))가 되었다: 산스크리트어 '''', 고대 그리스어 ὅς|호스grc /hós/ "누구" (관계대명사); 라틴어 ''iugumla'', 영어 ''yoke'', 고대 그리스어 ζυγός|쥐고스grc /zyɡós/.
  • 미케네어와 일부 아티카 방언 이외의 방언에 나타나는 프로토인도유럽어의 *w는 소실되었다: 초기 도리스어 ϝέργον|웨르곤grc /wérɡon/, 영어 ''work'', 아티카 그리스어 ἔργον|에르곤grc /érɡon/.
  • 프로토인도유럽어와 미케네어의 순순음은 후대 그리스 방언에서 일반 자음(순음, 치음, 연구개음)으로 변화했다. 예를 들어 프로토인도유럽어의 *kʷ는 아티카 방언에서 /p/ 또는 /t/가 되었다: 아티카 그리스어 ποῦ|푸grc /pôː/ "어디?", 라틴어 ''quōla''; 아티카 그리스어 τίς|티스grc /tís/, 라틴어 ''quisla'' "누구?".
  • 프로토인도유럽어의 "유성 흡음" 자음 /bʰ/, /dʰ/, /ǵʰ/, /gʰ/, /gʷʰ/는 무기음화되어 고대 그리스어에서 흡음 자음 φ θ χ|프, 트, 크grc /pʰ/, /tʰ/, /kʰ/가 되었다.


그리스 원어 이래,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는 거의 모든 고대 그리스어 방언에서 나타난다.

  • 음절핵적 자음 /r/, /l/은 미케네어와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ro/, /lo/로, 다른 방언에서는 /ra/, /la/로 변화했다. 단, 유성음 앞에서는 /ar/, /al/로 발음되었다.
  • : 예) 인도유럽 원어의 *str̥-to-는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στρότος|스트로토스grc이 되고, 다른 방언에서는 στρατός|스트라토스grc이 되었다(둘 다 "군대"라는 뜻).
  • /s/에서 유래한 /h/는 어두를 제외하고 탈락했다. 또한 /j/도 탈락했다.
  • : 예) 도리스 방언 níkaas < *níkahas < *níkasas "정복한", τρεῖς|트레이스grc < *trées < *tréyes "3"
  • /h/, /j/의 탈락 후, 많은 방언에서 /w/가 탈락했다.
  • : 예) ἔτος|에토스grc < ϝέτος|웨토스grc "년"
  • 순순음의 대부분이 순음으로 변화했다. 일부는 치음이나 구개음이 되기도 했다.
  • /h/와 /j/의 탈락 결과(/w/도 비교적 영향이 작지만), 인접한 모음 사이에서 융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것은 아티카 방언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이다.
  • 융합 등의 영향으로 특수한 고저장성 악센트(곡절 악센트)가 만들어졌다.
  • 위의 제약과 함께, 악센트를 마지막 세 음절 중 하나에 붙인다는 규칙이 생겨났다.
  • /s/ 앞에서 /n/이 탈락했고(단, 크레타 방언에서는 불완전), 바로 앞의 모음에서 보상 연장이 일어났다.


/w/, /j/는 탈락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다. 초기에는 모음 뒤에 있을 때, 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의 형태를 취했다. 자음 뒤에서의 /h/와 /w/의 탈락은, 바로 앞 모음의 보상 연장을 수반하여 일어났다. 한편, 자음 뒤의 /j/의 탈락에는, 바로 앞 모음의 이중 모음화, 구개화, 자음의 다른 변화 등 많은 복잡한 변화가 얽혀 있었다. 다음은 그 예이다.

변화 전변화 후
/pj/, /bj/, /phj//pt/
/lj//ll/
/tj/, /thj/, /kj/, /khj//s/ - 자음 바로 뒤일 때. 그 외의 경우에는 /ss/ 또는 /tt/(아티카 방언).
/gj/, /dj//zd/
/mj/, /nj/, /rj//j/ - 이때의 /j/는 자음 앞에서 치환되고, 바로 뒤의 모음과 함께 이중 모음을 만든다.
/wj/, /sj//j/ - 동시에 바로 뒤의 모음을 이중 모음화한다.



모음 융합의 결과는 방언에 따라 복잡했다. 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명사와 동사의 어미에서 일어나는 융합은, 고대 그리스어 문법의 가장 난해한 면을 보여준다. 모음 융합은 특히 동사의 활용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그리스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

4. 1. 모음

고대 그리스어는 현대 그리스어와 발음이 매우 달랐다. 고대 그리스어는 장단을 가진 모음, 여러 이중모음, 이중 및 단일 자음, 유성음, 무성음, 기음이 있는 파열음, 그리고 높낮이 악센트를 가지고 있었다.

전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ι|igrc υ|ygrc
중고모음ε ει|egrcο ου|ogrc
중저모음η|ēgrcω|ōgrc
저모음α|agrc



ο|ogrc는 기원전 4세기경에 υ|ugrc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2. 자음

고대 그리스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colspan=2|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μ|mgrcν|ngrcγ|ŋgrc
파열음유성음β|bgrcδ|dgrcγ|ggrc
무성음π|pgrcτ|tgrcκ|kgrc
유기음φ|pʰgrcθ|tʰgrcχ|kʰgrc
마찰음σ|sgrchgrc
전동음ρ|rgrc
측음λ|lgrc


  • ŋgrc은 연구개음 앞에서 사용되는 ngrc이음이고, 비음 앞에서는 ggrc의 변이음이다.
  • ρgrc는 단어 첫 글자(ῥ|r̥grc로 표기)에서는 무성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5]
  • σgrc는 유성자음 앞에서 zgrc로 동화되었다.


동사 활용 시 자음이 다른 자음과 만날 때 적용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역행동화).

  • 두 음이 인접할 때, 앞의 자음은 뒤의 자음과 유성·기성의 면에서 동화한다. (단, 폐쇄음에만 적용)
  • 마찰음은 유성화 또는 무성화 방향으로만 동화
  • 공명음은 동화하지 않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s (미래, 아오리스트 어간) 앞에서, 연구개음은 k, 양순음은 p가 되며, 치경음은 소실된다.
  • g+s > ks, b+s > ps, d+s > s
  • tʰ (수동태 아오리스트 어간) 앞에서, 연구개음은 kʰ, 양순음은 pʰ가 되며, 치경음은 s가 된다.
  • k+tʰ > kʰtʰ, p+tʰ > pʰtʰ, t+tʰ > stʰ
  • m (중동태 완료의 1인칭 단수, 1인칭 복수, 분사) 앞에서, 연구개음과 비음+연구개음은 g가 되고, 양순음은 m이 되며, 치경음은 s가 된다. 그 외의 공명음은 그대로 유지된다.

4. 3. 음운 변화

고대 그리스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PIE) 및 다른 인도유럽어들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음운론에서 고대 그리스어 단어는 모음이나 /n s r/로만 끝날 수 있었는데, γάλα|갈라grc "우유"와 γάλακτος|갈락토스grc "우유의" (소유격)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말 자음은 소실되었다. 고전 시대의 고대 그리스어는 수많은 음운 변화로 인해 원래 PIE 음소의 목록과 분포에서도 달랐는데,[20] 특히 다음과 같다.

  • PIE *s는 단어 앞에서 /h/가 되었다 (탈구개음화): 라틴어 ''sexla'', 영어 ''six'', 고대 그리스어 ἕξ|헭스grc /héks/.
  • PIE *s는 탈구개음화의 중간 단계를 거친 후 모음 사이에서 탈락되었다: 산스크리트어 '''', 라틴어 ''generisla'' (여기서 s는 설음화에 의해 r이 됨), 그리스어 *genesosgrc > *genehosgrc > 고대 그리스어 γένεος|게네오스grc (/ɡéneos/), 아티카 방언 γένους|게누스grc (/ɡénoːs/) "종류의".
  • PIE *y /j/는 /h/ (탈구개음화) 또는 /(d)z/ (강화(fortition))가 되었다: 산스크리트어 '''', 고대 그리스어 ὅς|호스grc /hós/ "누구" (관계대명사); 라틴어 ''iugumla'', 영어 ''yoke'', 고대 그리스어 ζυγός|쥐고스grc /zyɡós/.
  • 미케네어와 일부 아티카 방언 이외의 방언에 나타나는 PIE *w는 소실되었다: 초기 도리스어 ϝέργον|웨르곤grc /wérɡon/, 영어 ''work'', 아티카 그리스어 ἔργον|에르곤grc /érɡon/.
  • PIE와 미케네어의 순순음은 후대 그리스 방언에서 일반 자음(순음, 치음, 연구개음)으로 변화했다. 예를 들어 PIE *kʷ는 아티카 방언에서 /p/ 또는 /t/가 되었다: 아티카 그리스어 ποῦ|푸grc /pôː/ "어디?", 라틴어 ''quōla''; 아티카 그리스어 τίς|티스grc /tís/, 라틴어 ''quisla'' "누구?".
  • PIE의 "유성 흡음" 자음 *bʰ dʰ ǵʰ gʰ gʷʰ는 무기음화되어 고대 그리스어에서 흡음 자음 φ θ χ|프, 트, 크grc /pʰ tʰ kʰ/가 되었다.


그리스 원어 이래,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는 거의 모든 고대 그리스어 방언에서 나타난다.

  • 음절핵적 자음 /r/, /l/은 미케네어와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ro/, /lo/로, 다른 방언에서는 /ra/, /la/로 변화했다. 단, 유성음 앞에서는 /ar/, /al/로 발음되었다.
  • : 예) 인도유럽 원어의 *str̥-to-는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στρότος|스트로토스grc이 되고, 다른 방언에서는 στρατός|스트라토스grc이 되었다(둘 다 "군대"라는 뜻).
  • /s/에서 유래한 /h/는 어두를 제외하고 탈락했다. 또한 /j/도 탈락했다.
  • : 예) 도리스 방언 níkaas < *níkahas < *níkasas "정복한", τρεῖς|트레이스grc < *trées < *tréyes "3"
  • /h/, /j/의 탈락 후, 많은 방언에서 /w/가 탈락했다.
  • : 예) ἔτος|에토스grc < ϝέτος|웨토스grc "년"
  • 순순음의 대부분이 순음으로 변화했다. 일부는 치음이나 구개음이 되기도 했다.
  • /h/와 /j/의 탈락 결과(/w/도 비교적 영향이 작지만), 인접한 모음 사이에서 융합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것은 아티카 방언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이다.
  • 융합 등의 영향으로 특수한 고저장성 악센트(곡절 악센트)가 만들어졌다.
  • 위의 제약과 함께, 악센트를 마지막 세 음절 중 하나에 붙인다는 규칙이 생겨났다.
  • /s/ 앞에서 /n/이 탈락했고(단, 크레타 방언에서는 불완전), 바로 앞의 모음에서 보상 연장이 일어났다.


/w/, /j/는 탈락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다. 초기에는 모음 뒤에 있을 때, 그 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의 형태를 취했다. 자음 뒤에서의 /h/와 /w/의 탈락은, 바로 앞 모음의 보상 연장을 수반하여 일어났다. 한편, 자음 뒤의 /j/의 탈락에는, 바로 앞 모음의 이중 모음화, 구개화, 자음의 다른 변화 등 많은 복잡한 변화가 얽혀 있었다. 다음은 그 예이다.

변화 전변화 후
/pj/, /bj/, /phj//pt/
/lj//ll/
/tj/, /thj/, /kj/, /khj//s/ - 자음 바로 뒤일 때. 그 외의 경우에는 /ss/ 또는 /tt/(아티카 방언).
/gj/, /dj//zd/
/mj/, /nj/, /rj//j/ - 이때의 /j/는 자음 앞에서 치환되고, 바로 뒤의 모음과 함께 이중 모음을 만든다.
/wj/, /sj//j/ - 동시에 바로 뒤의 모음을 이중 모음화한다.



모음 융합의 결과는 방언에 따라 복잡했다. 많은 종류의 서로 다른 명사와 동사의 어미에서 일어나는 융합은, 고대 그리스어 문법의 가장 난해한 면을 보여준다. 모음 융합된 동사의 분류, 명사에서 만들어진 동사, 모음 어미에서 이러한 융합은 매우 중요해진다. 실제로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모음 융합 동사의 발달형(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어의 모음 융합 동사를 계승한 동사의 결합)이 동사의 주요 두 가지 분류를 상징하고 있다.

5. 문법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고대 그리스어는 굴절어적인 특징이 강하며, 원인도유럽어족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명사(고유명사 포함)는 다섯 개의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호격)과 세 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 그리고 세 개의 수(단수, 이중수, 복수)를 갖는다. 동사는 네 개의 법(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소망법)과 세 개의 태(능동태, 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세 개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여러 다른 형태를 갖는다.

동사는 시제와 상의 일곱 가지 조합(일반적으로 "시제"라고 함)을 통해 활용된다. 현재, 미래, 그리고 미완료 시제는 불완료상이고, 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그리고 미래완료는 완료상이다. 대부분의 시제는 네 가지 법과 세 가지 태를 모두 보이지만, 미래 가정법이나 명령법은 없다. 또한, 미완료 가정법, 소망법 또는 명령법은 없다. 부정사분사는 시제, 상, 태의 유한한 조합에 해당한다.

5. 1. 명사

키몬의 이름이 적힌 오스트라콘(Ostracon), 아타로스의 스토아(Stoa of Attalos)


그리스어는 다른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처럼 굴절성이 높다. 원인도유럽어족 형태를 매우 고대적인 형태로 보존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명사(고유명사 포함)는 다섯 개의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호격)과 세 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 그리고 세 개의 수(단수, 이중수, 복수)를 갖는다.

5. 2. 동사

그리스어는 다른 오래된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처럼 굴절성이 높다. 원인도유럽어족 형태를 매우 고대적인 형태로 보존하고 있다. 동사는 네 개의 법(직설법, 명령법, 가정법, 소망법)과 세 개의 태(능동태, 중간태, 수동태), 그리고 세 개의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과 여러 다른 형태를 갖는다.

동사는 시제와 상의 일곱 가지 조합(일반적으로 단순히 "시제"라고 함)을 통해 활용된다. 현재, 미래, 그리고 미완료 시제는 불완료상이고, 과거, 현재완료, 과거완료 그리고 미래완료는 완료상이다. 대부분의 시제는 네 가지 법과 세 가지 태를 모두 보이지만, 미래 가정법이나 명령법은 없다. 또한, 미완료 가정법, 소망법 또는 명령법은 없다. 부정사분사는 시제, 상, 태의 유한한 조합에 해당한다.

5. 3. 증강

그리스어 동사의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직설법에는 '/e-/'라는 접두사가 추가되는데, 이를 증강이라고 한다. 이는 원래 "그때"와 같은 의미를 지닌 별개의 단어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원인도유럽어의 시제가 주로 상의 의미를 지녔기 때문이다. 증강은 아오리스트, 미완료, 과거완료의 직설법에 추가되지만, 아오리스트의 다른 형태(미완료와 과거완료의 다른 형태는 존재하지 않음)에는 추가되지 않는다.[1]

그리스어의 증강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1]

  • 음절 증강: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근에 추가되며, 단순히 'e'를 접두사로 붙인다. (단, 'r'로 시작하는 어근에는 'er'을 추가한다.)[1]
  • 양적 증강: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근에 추가되며, 모음을 장음화한다.[1]


양적 증강의 구체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다.[1]

원래 모음증강 후 모음
a, ā, e, ēē
i, īī
o, ōō
u, ūū
aiēi
eiēi 또는 ei
oiōi
auēu 또는 au
euēu 또는 eu
ouou



일부 동사는 불규칙적으로 증강된다. 가장 일반적인 변형은 'e' → 'ei'이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모음 사이의 's'의 손실 또는 어두에 있을 때 증강에 영향을 미친 'w'의 손실로 설명될 수 있다.[1]

전치사를 접두사로 갖는 동사의 경우, 증강은 단어의 시작 부분이 아니라 전치사와 원래 동사 사이에 놓인다. 예를 들어, προσ(-)βάλλωgrc (나는 공격한다)는 아오리스트에서 προσ'''έ'''βαλoνgrc이 된다. 그러나 전치사가 아닌 접두사로 구성된 복합 동사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증강을 유지한다. αὐτο(-)μολῶgrc는 아오리스트에서 '''ηὐ'''τομόλησαgrc가 된다.[1]

호머의 관례에 따라, 특히 서사시에서는 증강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1]

증강은 때때로 중복을 대체하기도 한다.[1]

5. 4. 겹받침

그리스어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굴절어적인 특징이 강하며, 특히 고대 그리스어 시기에 인도유럽조어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다. 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의 대부분에서는 동사 어간의 어두에 겹받침이 사용되지만,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 겹받침에는 다음과 같은 세 종류가 있다.

  • 음절 겹받침: 단일 자음(ῥ 제외)이나, 폐쇄음+유성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어두 자음 뒤에 '-ε-'를 붙여 어두에 추가한다. 단, 어두 자음이 유기음인 경우에는 무기음으로 바꾼 후 중복한다. (그라스만의 법칙 참조)
  • 첨가음: 위에 해당하지 않는 자음군 및 겹자음으로 시작하는 동사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는 첨가음과 같은 방식으로 중복된다. 이는 직설법뿐만 아니라 완료 시제의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 아티카식 겹받침: 뒤에 유성음(때때로 δ, γ)이 이어지고, ᾰ, ε, ο로 시작하는 동사는 어두 모음과 그 뒤에 이어지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절이 중복되고, 그 뒤에 이어지는 모음은 장음화된다. (예: ἐρ > ἐρηρ, ἀν > ἀνην, ὀλ > ὀλωλ, ἐδ > ἐδηδ) 이 겹받침은 이름과 달리 아티카 방언 고유 현상은 아니지만, 아티카 지방에서 규칙화되었다.


예외적인 겹받침은 역사언어학적으로 설명 가능하다. 예를 들어, λαμβάνω(어근 λαβ-)의 완료 어간은 *λἔληφα가 아니라 εἴληφα인데, 이는 원래 형태인 σλαμβάνω(완료 어간 σἔσληφα)가 규칙적인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중복은 특정 동사의 현재 어간에서도 나타나며, 어근의 어두 자음 + ῐ의 음절을 추가한다. 일부 동사에서는 중복 시 비음이 나타나기도 한다.[21]

6. 표기 체계

고대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초기에는 대문자만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선형 B 문자로 작성된 기원전 1450년경의 필사본이다.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알파벳이 표준이 되었으나, 방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초기 문서는 부스트로페돈 방식으로 쓰였지만, 고전 시대에는 좌에서 우로 쓰는 것이 표준이 되었다.

현대에 편집된 고대 그리스어 문헌은 악센트와 호흡 부호가 붙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혼재하며, 단어 사이 공백과 현대 구두점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표기 방식은 모두 후대 동로마 제국 시대에 도입된 것이다.[1]

6. 1. 문자

가장 오래된 고대 그리스어 필사본(기원전 1450년경)은 음절 문자 선형 B 문자로 쓰여졌다. 그러나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알파벳이 표준이 되었지만 방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초기 텍스트는 부스트로페돈 방식으로 쓰여졌지만 고전 시대에 좌에서 우로 쓰는 것이 표준이 되었다. 현대판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악센트와 호흡 부호, 단어 사이 공백, 현대 구두점, 그리고 때로는 대소문자 혼용을 사용하여 쓰여지지만, 이러한 것들은 모두 나중에 도입되었다.[1]

고대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대문자만 사용되었다. 방언에 따라 독자적인 변형이 있었다. 초기 문서는 보루식 문자로 기록되었지만, 고전기에는 좌측 가로쓰기가 표준이었다.[1]

근대에 편집된 고대 그리스어 문헌은 악센트와 숨기호가 붙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혼재하는 띄어쓰기로 쓰여 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후대 동로마 제국 시대에 이르러 도입된 것이다.[1]

6. 2. 부호

가장 오래된 고대 그리스어 필사본(기원전 1450년경)은 음절 문자 선형 B 문자로 쓰여졌다. 그러나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알파벳이 표준이 되었지만 방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초기 텍스트는 부스트로페돈 방식으로 쓰여졌지만 고전 시대에 좌에서 우로 쓰는 것이 표준이 되었다. 현대판 고대 그리스어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악센트와 호흡 부호, 단어 사이 공백, 현대 구두점, 그리고 때로는 대소문자 혼용을 사용하여 쓰여지지만, 이러한 것들은 모두 나중에 도입되었다.[1]

고대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대문자만 사용되었다. 방언에 따라 독자적인 변형이 있었다. 초기 문서는 보루식 문자로 기록되었지만, 고전기에는 좌측 가로쓰기가 표준이었다.[1]

근대에 편집된 고대 그리스어 문헌은 악센트와 숨기호가 붙고, 대문자와 소문자가 혼재하는 띄어쓰기로 쓰여 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후대 동로마 제국 시대에 이르러 도입된 것이다.[1]

7. 주요 저작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서두는 호메로스식 그리스어를 사용하여 고대 그리스의 아르카이크 시대를 보여주는 예시이다.[1]

플라톤의 변명 서두는 고대 그리스의 고전 시대 아티카 그리스어를 보여주는 예시이다.[1]

8. 현대적 사용

현대 작가들은 고대 그리스어로 글을 쓰는 경우가 드물지만, 얀 크셰슬로는 고대 그리스어로 시와 산문을 썼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34] 일부 권의 아스테릭스,[35] ''알릭스의 모험''이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Ὀνόματα Kεχιασμένα|오노마타 케키아스메나grc는 고대 그리스어로 된 최초의 십자말풀이 및 퍼즐 잡지이다.[36] 2015년 4월 ''헤브도마다 아이니그마툼''의 부록으로 첫 호가 발행되었다. 알프레트 라흘프스는 1935년판 칠십인역에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된 서문, 칠십인역의 간략한 역사 및 기타 머리말을 포함시켰고, 로버트 한하르트 역시 2006년 개정판 라흘프스-한하르트판에도 고대 그리스어로 된 서문을 포함시켰다.[37] 아크로폴리스 월드 뉴스는 매주 가장 중요한 뉴스 요약을 고대 그리스어로 보도한다.[38]

고대 그리스어는 주로 그리스인들을 중심으로, 이 언어에 대한 존경심, 감탄 또는 선호도를 나타내고자 하는 단체와 개인들에 의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사용은 때때로 미적인, 민족주의적인 또는 유머러스한 것으로 간주된다. 현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그리스어의 비고전 형태로 쓰인 텍스트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은 현대 그리스어가 그 조상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1]

8. 1. 교육

르네상스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 국가들과 미국에서는 라틴어와 함께 고대 그리스어가 교육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많은 미국 건국 아버지들이 고전 교육을 받았다.[22] 미국 대학에서는 라틴어가 강조되었지만, 식민지 시대와 초기 국민 시대에도 그리스어가 필수 과목이었으며,[23] 19세기 중후반 미국 필헬레니즘 시대에 고대 그리스 연구가 점점 인기를 얻었다.[24] 특히 당시 여성 지식인들은 고대 그리스어 숙달을 "여성 문학가"가 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다.[25]

고대 그리스어는 여전히 유럽 전역의 전통적인 학교나 명문 학교, 예를 들어 영국의 공립학교와 문법학교에서 필수 또는 선택 과목으로 가르친다. 이탈리아의 리체오 클라시코에서는 필수 과목이며, 네덜란드의 김나지움(gymnasium), 오스트리아의 일부 학급, 크로아티아의 클라시츠나 김나지야(klasična gimnazija, 고전 언어 전문 문법학교), 벨기에 ASO의 고전 연구에서 필수 과목이고, 독일의 인문학 중심 김나지움에서는 보통 라틴어와 영어 다음 세 번째 언어로 14세에서 18세까지 선택 과목이다. 2006/07년 독일에서는 독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15,000명의 학생이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했고, 이탈리아에서는 280,000명의 학생이 공부했다.[26]

스페인 바칼로레아의 인문 계열에서는 라틴어와 함께 필수 과목이다. 고대 그리스어는 전 세계 대부분의 주요 대학교에서 가르치는데, 종종 고전 연구의 일부로 라틴어와 함께 가르친다. 2010년에는 아동의 언어 능력 향상을 위해 영국의 세 초등학교에서 고대 그리스어를 제공했고,[27][28] 2014년에는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한 주요 노력의 일환으로 초등학교가 가르칠 수 있는 7개의 외국어 중 하나였다.[29]

그리스의 모든 김나지움과 리케이움에서는 고대 그리스어가 필수 과목으로 가르친다.[30][31] 2001년부터 그리스 국립교육종교부가 주관하고 그리스어 및 문화 기관이 공동 주관하는 고등학생 대상 연례 국제 대회 ()가 개최되었다.[32] 그러나 이 대회는 교사들의 인정과 수용을 얻지 못하여 2010년에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33]

8. 2. 학술 용어

고대 그리스어는 유럽 언어의 현대적인 전문 용어를 만들 때 자주 사용된다. 그리스어 기원의 영어 단어를 참조하라. 고대 그리스어 어근을 라틴어화한 형태는 많은 학명과 과학 용어에 사용된다.[1]

8. 3. 문화

르네상스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 국가들과 미국에서 고대 그리스어는 라틴어와 함께 교육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미국 대학에서는 라틴어가 강조되었지만, 19세기 중후반 미국 필헬레니즘 시대에 고대 그리스 연구가 인기를 얻었다.[22][23][24] 특히 당시 여성 지식인들은 고대 그리스어 숙달을 "여성 문학가"가 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다.[25]

고대 그리스어는 유럽 전역의 전통적인 학교나 명문 학교에서 여전히 필수 또는 선택 과목으로 가르친다. 영국의 공립학교와 문법학교, 이탈리아의 리체오 클라시코, 네덜란드의 김나지움(gymnasium), 오스트리아의 일부 학급, 크로아티아의 클라시치나 김나지야(klasična gimnazija, 고전 언어 전문 문법학교), 벨기에의 ASO 고전 연구에서 필수 과목이다. 독일의 인문학 중심 김나지움에서는 보통 라틴어와 영어 다음 세 번째 언어로 선택 과목이다. 2006/07년 독일에서는 15,000명의 학생이, 이탈리아에서는 280,000명의 학생이 고대 그리스어를 공부했다.[26] 스페인 바칼로레아의 인문 계열에서는 라틴어와 함께 필수 과목이다.

고대 그리스어는 전 세계 대부분의 주요 대학교에서 가르치는데, 종종 고전 연구의 일부로 라틴어와 함께 가르친다. 2010년에는 영국의 세 초등학교에서 고대 그리스어를 제공했고,[27][28] 2014년에는 초등학교가 가르칠 수 있는 7개의 외국어 중 하나였다.[29]

그리스의 모든 김나지움과 리케이움에서는 고대 그리스어가 필수 과목이다.[30][31] 2001년부터 고등학생 대상 연례 국제 대회인 Διαγωνισμός στην Αρχαία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και Γραμματείαel (고대 그리스어 및 문화 경시대회)가 개최되었으나,[32] 2010년에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33]

현대 작가들은 고대 그리스어로 글을 쓰는 경우가 드물지만, 얀 크셰슬로는 고대 그리스어로 시와 산문을 썼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34] 일부 권의 아스테릭스,[35] ''알릭스의 모험''이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Ὀνόματα Kεχιασμέναgrc (''오노마타 케키아스메나'')는 고대 그리스어로 된 최초의 십자말풀이 및 퍼즐 잡지이다.[36] 알프레트 라흘프스는 1935년판 칠십인역에, 로버트 한하르트는 2006년 개정판 라흘프스-한하르트판에 고대 그리스어로 된 서문을 포함시켰다.[37] 아크로폴리스 월드 뉴스는 매주 가장 중요한 뉴스 요약을 고대 그리스어로 보도한다.[38]

고대 그리스어는 주로 그리스인들을 중심으로, 이 언어에 대한 존경심, 감탄 또는 선호도를 나타내고자 하는 단체와 개인들에 의해서도 사용된다. 현대 그리스인들이 고대 그리스어의 비고전 형태로 쓰인 텍스트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은 현대 그리스어가 그 조상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1]

고대 그리스어는 유럽 언어의 현대적인 전문 용어를 만들 때 자주 사용된다. 고대 그리스어 어근의 라틴어화된 형태는 많은 학명과 과학 용어에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5-10-28
[2] 학술지 Greek https://www.persee.f[...] 2021-01-23
[3] 서적 A Companion to Gree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 백과사전 Greek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9-05-22
[5]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https://books.google[...] Brill
[6] 학술지 Greek-Anatolian Language Contact and the Settlement of Pamphylia https://www.christin[...] 2021-04-17
[7] 서적 The Greek World, 479–323 BC Routledge 2002
[8]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Walter de Gruyter 2020-11-08
[9] 서적 Studies in Ancient Greek Dialects: From Central Greece to the Black Sea Walter de Gruyter 2018
[10] 서적 Ancient Macedonia: Language, History, Culture Centre for Greek Language 2012
[11] 서적 Collected Studies: Further studies on various topics https://books.google[...] A.M. Hakkert 1997
[12] 서적 Alexander the Great: A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3] 서적 The Sappho Companion Vintage
[14] 간행물 Le Phrygien CNRS Editions
[15] 서적 The Ancient Languages of Asia Minor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On the place of Phrygian among the Indo-European languages 2019-12-01
[17] 서적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Blackwell
[19] 서적 Greek https://www.bbc.co.u[...] Routledge 2020-11-14
[20]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Blackwell
[21] 서적 The Greek Langua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2] 서적 Classica Americana: The Greek and Roman Heritage in the United States
[23] 서적 Curriculum: A History of the American Undergraduate Course of Study Since 1636
[24] 서적 The Culture of Classicism: Ancient Greece and Rome in American Cultural Life, 1780–1910
[25] 서적 Roman Law, Classical Education, and Limits on Classical Participation in America into the Twentieth-Century
[26] 웹사이트 Ministry publication http://www.edscuola.[...] 2010-10-27
[27] 웹사이트 Ancient Greek 'to be taught in state schools' https://www.telegrap[...] 2015-05-03
[28] 웹사이트 Now look, Latin's fine, but Greek might be even Beta http://www.tes.co.uk[...] TES Editorial 2010-08-03
[29] 웹사이트 More primary schools to offer Latin and ancient Greek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2-11-26
[30] 웹사이트 Ωρολόγιο Πρόγραμμα των μαθημάτων των Α, Β, Γ τάξεων του Hμερησίου Γυμνασίου http://www.fa3.gr/ph[...] 2015-05-03
[31] 웹사이트 ΩΡΟΛΟΓΙΟ ΠΡΟΓΡΑΜΜΑ ΓΕΝΙΚΟΥ ΛΥΚΕΙΟΥ http://edu.klimaka.g[...] 2015-05-03
[32] 웹사이트 Annex to 2012 Greek statistics https://en.unesco.or[...] UNESCO 2012
[33] 학회 Proceedings of the 2nd Pan-hellenic Congress for the Promotion of Innovation in Education 2016
[34] 서적 Areios Potēr kai ē tu philosophu lithos Bloomsbury
[35] 웹사이트 Asterix speaks Attic (classical Greek) – Greece (ancient) http://www.asterix-o[...] 2011-07-12
[36] 뉴스 Enigmistica: nasce prima rivista in greco antico 2015 http://www.repubblic[...] 2015-05-04
[37] 서적 Septuaginta, editio altera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06
[38] 웹사이트 Akropolis World News http://www.akwn.net/
[39] 일반
[40] 논문 Greek dialects Cambridge UP 2008
[41] 일반
[42] 일반
[43]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2010
[44] 일반
[45]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